이전계획 수립
보관대상 물품의 특성(장비,집기의 경우 제원등)/입고날짜/보관기간/보관물량/주의사항등을 확인합니다.
고객사로 부터 전달받은 보관물품 리스트와 현장실사를 통해 확인한 리스트의 일치여부를 확인합니다.
현장실사를 통해 출발지 건물의 컨디션 체크, 보관대상의 물량 및 포장방법등을 확인합니다.
더블체크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기준으로 최종 보관물품 리스트를 확정합니다.
포장작업
보관대상 물품의 특성에 따라 포장방법을 확인합니다.
문서보관의 경우 보관기준에 따라 포장작업을 실시합니다.
이전작업
이전작업은 일반적으로 물품의 반출/ 상차/ 운송/ 하자/ 반입작업등을 포함합니다.
반출작업
▶ 사전에 확정된 보관 물품 리스트를 기준으로 반출 작업을 합니다.
보관 물품리스트 상 반출대상 리스트와 반출물량을 고객사 담당자와 더블체크합니다.
상차작업
▶ 각 보관 물품의 보관 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상차작업을 합니다.
운송작업
▶ 작업환경 및 이전물량에 따라 1톤 / 2.5톤 / 5톤 차량으로 운송작업을 합니다.
▶ 이전물품의 특성에 따라 일반화물 / 일반탑차 / 윙바디 / 무진동 / 항온항습 차량중 선택하여 운송작업을 합니다.
▶ 운전자는 이동구간의 지역적인 특수성과 교통상황등을 고려해 최적의 방법을 간구하여 운송합니다.
하차작업
▶ 상차시 확인된 보관장소가 맞는지 재확인하며, 하차 작업을 실시합니다.
반입작업
▶ 사전에 확인된 고객사 보관 물품 리스트에 따라 정해진 보관구역에 보관한 후 향후 정확한 반출작업이 될수 있도록 물품과 구역 라벨링 표기내용의 일치 여부를 재확인 합니다.
보관작업
사전에 확인된 고객사 보관 물품 리스트에 따라 정해진 보관구역에 보관한 후 향후 정확한 반출작업이 될수 있도록 물품과 구역 라벨링 표기내용의 일치 여부를 재확인 합니다.